주최 . 주관 | 국립정동극장 |
---|---|
대표분야 | 음악•콩쿠르•댄스 |
참가대상 | 일반인 , 해당자 ▶ ( 2018년 이후 쇼케이스, 낭독, 14회 이하의 본공연 등 시범 공연 단계를 거친 기발표작을 공연하고자 하는 제작사, 개인, 극단 혹은 단체) |
접수기간 | 2025.10.16 ~ 2025.11.14 |
심사기간 | 2025.11.17 ~ 2025.12.31 |
대회지역 | 서 울 |
시상내역 | 기타 :창작제작비 지원(최대1억5천만원) |
특전 | 홍보.교육지원 |
홈페이지 | 주최사 공고 바로가기 |
접수방법 | 온라인접수 |
접수하기 |
온라인 접수하기 |
참가비용 | 무료 접수 |
콘코 SNS 공유 |
![]() ![]() ![]() ![]() ![]() ![]() ![]() ![]() ![]() ![]() |
![]() |
※ 대회·공모전의 세부요강은 주최사의 기획에 의해 내용이 변경 될 수 있으니, 주최사의 공고를 반드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국립정동극장 세실 '2026 창작ing' 무대에 오를 작품을 공개모집 합니다.
본 공모는 연극, 뮤지컬, 전통, 무용 4개 분야를 대상, 열린 공모로 진행합니다.
⦁ 2018년 이후 쇼케이스, 낭독, 14회 이하의 본공연 등 시범 공연 단계를 거친 기발표작(공연시간 1시간 이상 분량)을 공연하고자 하는 제작사, 개인, 극단 혹은 단체
⦁ 동시대성을 갖춘 작품
⦁ 지속적인 레퍼토리의 가능성을 지닌 작품
■ 창작-제작비
⦁ 뮤지컬 : 최대 1억 5천만원
⦁ 연 극 : 최대 1억 2천만원
⦁ 전 통 : 최대 8천만원
⦁ 무 용 : 최대 5천만원
※ 작품 규모에 따라 창‧제작비 규모의 가감이 발생할 수 있음
■ 간접제작비
ㄱ. 공통지원 : 공연 기간 동안 세실극장 대관 및 장비 투자
⦁ 뮤지컬 : 16회 이상의 공연 제작
⦁ 연 극 : 14회 이상의 공연 제작
⦁ 전 통 : 7회 이상의 공연 제작
⦁ 무 용 : 3회 이상의 공연 제작
※ 선정 후 최소 공연 회차 미 충족 시, 선정 취소 될 수 있음(공연라인업 배제)
ㄴ. 창작ing 통합 브랜딩을 위한 홍보마케팅 지원
ㄷ. 극장에서 창작ing 티켓 운영 (수입금은 극장 귀속)
ㄹ. 레퍼토리 가능 작품 선별, 향후 국립정동극장 세실 기획공연 선정 가능ㅁ. 작품 선정을 심의했던 심사위원을 포함한 전문위원들의 공연 평가, 관객 평가 및 후기 리서치 제공으로 장기 레퍼토리화를 위한 피드백 지원
2025년 10월 16일(목) ~ 11월 14일(금) 17:00 까지
온라인접수 (http://jeongdong.fairyhr.com) ※ 이메일, 우편접수 등 불가
① 작품소개서 공통양식 (별첨양식 첨부)
② 저작권이용 허가서 (별첨양식 서명 후 첨부)
③ 공연자료- 대본 필수 (뮤지컬의 경우 해당 악보, 음원, 넘버 순서 첨부)
④ 공연 실황 영상 (url 기재)
※ 상세내용 홈페이지 공고문 참고
○ 심사방법 : 장르별 전문위원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① 서류 → ② 인터뷰 → ③ 토론, 총 3단계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
○ 심사기준
⦁ 작품성- 작품의 완성도와 참신성
⦁ 동시대성- 동시대적 특성을 가지고 관객과 호흡할 수 있는 작품성과 가능성⦁ 단체의 역량- 단체(창작자)의 제작 운영 관리 능력, 국립정동극장과의 협업·파트너 가능성
⦁ 작품의 가능성 및 적합성– 장기공연 및 레퍼토리화의 가능성
○ 1차 발표 : 2026년 1월 중 1차 발표대상 개별연락 및 인터뷰 심사 진행
○ 최종발표 : 2026년 1-2월 중 국립정동극장 홈페이지 공고 및 개별연락
※일정은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
국립정동극장 공연기획팀 공모사업담당자 (02)751-1931 평일 10시-17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