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진행 수 4,101

[소개] 최성희 시집 <양구의 봄> -도서출판 상상인-

2025.07.04



최성희 시집 <양구의 봄>

상상인 시인선 072 | 2025년 6월 28일 발간 | 정가 12,000원 | 128*205 | 148쪽

ISBN 979-11-93093-96-2(03810)

도서출판 상상인 | 등록번호 572-96-00959 | 등록일자 2019년 6월 25일

(06621)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 74길 29, 904호

Tel. 02 747 1367, 010 7371 1871 |Fax. 02 747 1877 | E-mail. ssaangin@hanmail.net

* 이 도서는 2025년 강원특별자치도, 강원문화재단 후원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책 소개]

최성희 시인의 시집 『양구의 봄』은 고통 속에서도 희망에 대한 예감을 포기하지 않는 삶의 자세와 삶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이 깃든 시편들을 통해, 삶의 비탈길에서 움튼 작고 단단한 생의 의지를 시적으로 포착해 낸다. 특히 강원도의 지명들이 자주 언급되며 시적 배경과 정서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이 시집은 지역성과 서정성 그리고 인간 존재의 상처와 회복의 언어가 절묘하게 교직된 작품집이라 할 수 있다.

표제작인 「양구의 봄」이 그러하듯, 이 시집에서 ‘봄’은 마냥 따스하거나 풍요로운 계절이 아니다. 봄은 “소문 퍼트리는 개구리들의 떼창” 속에서 “속울음 슬쩍 끼워 넣는” 감정을 유발하고, “솜이불 덮고 자는” 양구의 4월은 여전히 냉랭하다. 봄을 기다리는 마음은 희망이라기보다, 어떤 고통을 견뎌낸 자에게만 허락되는 보상처럼 다가온다. 또한, 「환상통」에서 “봄이 온다는 건 / 시린 만큼의 몸살이 도지는 일”이라는 구절은, 봄이라는 계절 자체가 오히려 과거의 고통을 되살리는 열쇠가 됨을 암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환상통’은 단지 상실의 아픔이 아닌, “무지개를 다 우려 마셔도” 그 빛깔을 품으려는 간절한 희망의 은유이기도 하다. 이렇듯 이 시집의 시들에는 고통 속에서도 희망을 상상하고 예감하는 시적 태도가 두드러진다.

또한, 이 시집의 많은 시들은 강원도의 지명들을 배경으로, 삶의 오작동 속에서 피어나는 봄의 가능성을 은유적으로 그리고 있으며, 흔들리는 삶의 한가운데서도 따뜻한 시선을 잃지 않는다. 「길이 없는 길 위에서」에서는 개미를 따라 흔들리며 오르는 인생의 언덕길을 성찰하며, “산다는 건 흔들림”이라는 말로 요동치는 삶의 본질을 드러낸다. 「풍기역」과 「속초 밤바다」는 고향과 가족 그리고 과거의 아름다운 시간이 새겨진 장소들에 대한 애틋한 기억을 담고 있다. 특히 풍기역에서 어머니의 환영을 떠올리는 장면은 유년과 노년, 꿈과 현실이 교차하는 감동의 순간이다. 시인은 이러한 기억을 통해 시간의 잔여물과 존재의 중심을 되새긴다. 「말과 말의 고리」에서는 언어의 폭력성과 삶의 불확실성을 풍자하면서도, 결국에는 노아의 방주와 비둘기의 귀환을 소망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한다.

최성희 시인의 『양구의 봄』은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세계가 “오작동”하고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그 어긋남 속에서 피어나는 봄의 가능성을 응시하는 시집이다. 이방인처럼 떠돌고, 첫사랑의 환상통에 시달리며, 과거를 잊지 못한 채 풍기역에 머물기도 하지만, 시인은 결국 “하늘궁전” 같은 속초 밤바다에서 자신의 별을 찾고, 아직 피지 않은 산수유의 꽃에서 다시 한번 시를 품는다. 고통 속에서도 희망을 상상하고 예감하며, 흔들리는 길 위에서도 여전히 따뜻한 시선을 견지하는 이 시집은, 강원도의 지명을 따라 산천을 걸으며, 마침내 우리의 삶과 맞닿는다. 『양구의 봄』은 한 시인이 어떻게 고통을 통과해 희망의 언어를 길어 올리는지를 보여주는 귀한 시적 기록이다.

[시인의 말]

퍼즐 한 조각 같은

자음과 모음의 알갱이들

해리포터의 마법 빗자루처럼

그 언어의 알갱이들을 가로세로 연결하다 보면

기억 한 페이지에서 세월이 쏟아집니다

천 번을 잘리고도 살아나는 기억의 조각들

다인칭으로 천기를 누설하는 언어와 언어들

자음과 모음의 행간을

저울추처럼 달아 내리던 퇴고와 퇴고

밀려난 언어들이 밤새워

퍼즐을 맞춥니다

달빛 홀로 깊습니다

2025년 6월

양구 구암리 고을에서 최성희

[저자 약력]

최성희

· 2018년 『상록수 문학』으로 등단하여 시집으로 『달의 문패』가 있다. 61회 강원 사랑 시화전 작품 공모전(박수근 빨래터)대상, 62회 강원 사랑 시화전 작품 공모전(박인환 문학관에서)은상, 양구 단오제 백일장(웃음) 장원을 수상하였다.

· 춘천 <시를 뿌리다> 시문학회 회원, 강원 문인협회 및 한국 문인협회 회원, 양구 청춘 문인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 서울에서 살다가 산골이 좋아 지금은 한반도 정중앙 ‘양구’에 터를 잡고 산새, 들꽃, 바람, 흙, 별들과 함께 살고 있다.

· 강원문화재단 후원으로 두 번째 시집 『양구의 봄』(2025)을 발간하였다.

old4040@naver.com

 

 

인기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