ㅣ2025 상반기 공모전 통계, 참가자·기업이 주목할 포인트는? 2025.07.10
![]() 2025년 상반기 동안 콘테스트코리아에 등록된 공모전은 참가자들의 높은 관심 속에 활발히 진행되었습니다. 본 통계 자료를 통해, 참가자 분들께는 하반기에 도전할 공모전에 대한 힌트를, 기업 회원 분들께는 공모전 기획 및 개최 방향 설정에 유용한 인사이트를 전하고자 합니다. ㅣ카테고리별 등록률, 지금 뜨는 공모전 주제는? ![]() 상반기 동안 가장 많은 공모전이 등록된 분야는 아이디어·건축·창업(19.26%) 분야였습니다. 미술·디자인·웹툰(18.72%), 사진·영상·영화제(17.15%)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그 외 문학·문예, 음악·콩쿠르·댄스 등도 많이 비율로 개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콘.코멘트 : 참가자 입장에서는 '창의력 기반' 공모전이 여전히 강세임을 알 수 있으며, 기업회원이라면 '아이디어형 공모전'을 통해 고객 참여를 유도하는 전략을 고려해볼 만합니다. ㅣ상금 규모, 참가자와 주최사가 주목하는 현실적인 포인트는? ![]() 공모전 대회의 총상금 및 1위 상금 규모는 주최사가 참가자의 현실적인 동기 부여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통계에 따르면, 총상금이 100만 원에서 500만 원 사이인 공모전이 전체의 약 39.97%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며, 1위 상금은 100만 원에서 300만 원 구간이 41.8%로 가장 많았습니다. ㅣ주최·주관 현황, 공모전 시장을 움직이는 큰 축은? ![]() 상반기 동안 공모전을 가장 많이 개최한 곳은 바로 '정부·지자체·공공기관(36.66%)'이었습니다. 이어 학교·학회·협회·재단(19.17%), '대기업·중소기업·벤처기업(18.4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공기관 주최 공모전은 사회적 가치나 정책 홍보와 관련된 주제가 많고, 수상 시 공신력 있는 기관의 수상 경력을 얻을 수 있어 취업·진로에도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학교·협회·재단 주최 공모전은 전공 분야와 연계된 경우가 많아, 관련 분야 진출을 희망하는 참가자에게 추천할 만합니다. 그리고, 대기업·중소기업 공모전은 실제 제품이나 브랜드를 주제로 한 실무형 공모가 많아 포트폴리오를 쌓기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포스터 클릭 시 해당 공고문으로 이동
2위 : 지리산 문학상 운영위원회 '2025 최치원신인문학상' 21,603 ㅣ 하반기 준비, 지금부터 시작! 상반기 데이터를 종합해보면 ‘스토리 기반 공모전’, ‘아이디어형 공모전’ 그리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공모전’의 인기가 두드러졌습니다. 곧 다가올 하반기, 공모전 참가자 분들은 미리 공모전 계획을 세워보시고, 기업회원 분들은 하반기 공모전 기획·홍보 전략을 고민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저희 콘테스트코리아에서도 하반기 공모전 등록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공모전 시장의 흐름, 가장 빠르게 전하겠습니다!
ㅣ하반기 공모전 준비 전략 (보너스 Tip!) 상반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반기에는 다음 전략을 추천합니다: 1. 상금만큼 ‘특전·혜택’도 고려 → 수상작 활용 기회, 취업 연계 * 콘.코멘트 : 상반기 통계는 ‘참가자의 취향’과 ‘기업의 기회’를 동시에 보여줍니다. 하반기에는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더 전략적인 도전과 기획을 추천합니다.”
|